Spring

1. Spring MVC 패턴

hrming 2022. 5. 3. 17:53

MVC패턴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Model(모델), View(뷰), Controller(컨트롤러)와 같이 3가지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비즈니스 처리 로직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분하며 개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1-1. 모델(Model)

먼저 Model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구간입니다.

 

1-2. 뷰(View)

View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현되는 구간입니다.

View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을 구성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MVC패턴에서는 다수의 View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1-3. 컨트롤러(Controller)

Controller는 Model과 View의 연결을 위한 구간입니다.

Model과 View는 서로 통신이 될 수 없기 때문에 Controller가 두 구간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View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오면 Controller에 알려주고, Controller는 해당 요청을 Model에 알려 비즈니스 로직이 처리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스프링 MVC

 

 

위에서 잠시 언급한바와 같이 스프링도 MVC패턴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프레임워크이고 MVC패턴 동작을 위해 스프링에는 dispatcher servlet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dispatcher servlet은 웹사이트의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로 사용자의 모든 요청과 응답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오면 controller에 전달하고, 비즈니스 로직이 처리된 model을 view에 넘겨주며, 사용자에게 보여질 화면과 함께 응답을 해줌으로 스프링이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출처: https://jforj.tistory.com/51?category=842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