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ming

5. TCP / UDP 본문

기타/면접 준비

5. TCP / UDP

hrming 2022. 4. 30. 14:15

1. 전송계층

TCP와 UDP는 TCP/IP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전송계층은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이다.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 단위이다.


2. TCP vs UDP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이고, UDP는 User Datagram Protocol의 약자이다.

두 프로토콜은 모두 패킷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달해주는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2-1. TCP & UDP 공통점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주소를 지정
데이터 오류 검사를 위한 체크섬 존재

 

2-2. TCP & UDP 차이점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연결이 성공해야 통신 가능(연결형 프로토콜) 비연결형 프로토콜(연결 없이 통신이 가능)
데이터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음(Byte-Stream Service) 데이터의 경계를 구분함(Datagram Service)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데이터의 재전송 존재) 비신뢰성 데이터 전송(데이터의 재전송 없음)
일 대 일(Unicast) 통신 일 대 일, 일 대 다(Broadcast), 다 대 다(Multicast) 통신

 

참고: 

https://velog.io/@jonah/TCPIP

https://velog.io/@hidaehyunlee/TCP-%EC%99%80-UDP-%EC%9D%98-%EC%B0%A8%EC%9D%B4

-> 네트워크 관련해서 위 블로그 통해서 좀 더 공부하면 좋을 듯.

'기타 > 면접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Framework와 Library 차이점  (0) 2022.04.30
6. JSP  (0) 2022.04.30
4. MyBatis의 개념 및 특징  (0) 2022.04.29
3. Java의 특징  (0) 2022.04.29
2. 객체지향 언어의 특징  (0) 2022.04.2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