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ming
9. ACID 본문
ACID는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을 가리키는 약어이다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이라는 맥락에서 트랜잭션이란 한 단위의 작업으로 취급되는 모든 작업을 말합니다.
A(Atomicity-원자성)
하나의 원자 트랜잭션은 모두 성공하거나 또는 실패하는 데이터베이스 운용의 집합이다.
C(Consistency-일관성)
트랜잭션이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유지한다.
I(Isolation-고립성)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도중에 다른 연산작업이 끼어들지 못하도록 한다.
D(Durability-지속성)
성공적으로 수행된 트랜잭션은 영원히 반영되어야 한다.
ACID 트랜잭션이 있으면 좋은 점
ACID 트랜잭션은 가능한 최대한의 데이터 안정성과 무결성을 보장해줍니다. 작업 하나가 일부분만 완료되는 바람에 데이터가 일관적이지 않은 상태가 되는 불상사가 절대로 일어나지 않게 해준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ACID 트랜잭션이 없다고 가정하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몇몇 데이터를 쓰던 중에 예기치 못하게 정전이 되면 데이터 중 일부는 저장이 되고 일부는 저장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는 일관성 없는 상태가 되어 복구하기 무척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기타 > 면접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List, Map, Set 특징 (0) | 2022.05.01 |
---|---|
10. 클래스(class), 객체(object), 인스턴스(instance) 차이 (0) | 2022.05.01 |
8. 오버로딩 & 오버라이딩 개념 및 차이점 (1) | 2022.04.30 |
7. Framework와 Library 차이점 (0) | 2022.04.30 |
6. JSP (0) | 2022.04.3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