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ming
[EDI] MIG (Message Implementation GuideLine) 본문
앞서, EDI 문서 구조 및 요소를 정리하면서, MIG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MIG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 정리하고자 한다.
■ MIG (Message Inplementation Guide)
- EDI 전자 문서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 한 규칙을 정리한 가이드 문서
- 필수 세그먼트, 옵션 또는 조건부 세그먼트 여부를 구분
- 각 세그먼트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 요소가 정리되어 있음
- 데이터 요소는 표준 사전에 정의되어 있으며, 각 표준은 자체 사전을 가지고 있음
- 세그먼트 및 데이터 요소의 필수 시퀀스가 들어가있으며, 세그먼트 또는 세그먼트 그룹을 반복할 수 있는 횟수가 나와 있음
- MIG 문서는 기업별로 표준과 틀이 상이함.
[EDI] 문서 구조 및 요소
■ Data Elements- 비즈니스 문서 내에 존재하는 개별 정보 항목- 트랜잭션 세트의 각 데이터 요소는 EDI 표준에서 나타내는 데이터 유형에 따라 정의됨 □ 데이터 요소 구성 - 요소의 이름 -
hrimg.tistory.com
- MIG 에는 새로운 항목이 추가될 순 없다. 다만, 요소마다 `필수` 혹은 `사용하지 않음` 으로 설정을 할 수 있다.
- EDIFACT 표준은 `UN/EDIFACT 표준`에서 파생되었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산업/회사에 따라 하위 기준들이 생겼다.
아래와 같이,
- 전자문서(여기에서는 CERTIF, 증명발급서) 별로 MIG가 작성되며
- Segment 그리고 Data Element들에 대한 정보가 정리되어 있다. (필수/선택값, 데이터 타입, 크기등)
우측, RFF Segment에 있는 태그별로 데이터 요소를 보면
1153 Reference qualifier 는 필수값(M), 숫자/한글(an), 데이터 크기는 3, 값 `1AL`로 지정 (자료항목 설명)
→ DB 테이블 생성 시, NOTNULL, VARCHAR(3)
1154 Reference number 는 선택값(C), 숫자/한글(an), 데이터 크기는 35, 입력값 (자료항목 설명)
→ DB 테이블 생성 시, VARCHAR(35)
1156 Line number 는 선택값(C), 숫자/한글(an), 데이터 크기는 6,
→ NOT USED이므로 생성 불필요
비고에 있는 n12는...MIG안에 따로 정의가 되어있는 건지 이 자료만으로는 잘 모르겠다. 🥲🥲🥲
무역관련 전자문서 종류는 아래와 같이 많다..
`각 문서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담아서 수신자에게 보내기 위해서
각 전자문서별 MIG를 분석해서..! 그에 맞는 테이블/프로그램 설계를 해서..데이터를 알맞게 보내야하는 것`
이 포인트이지 않나....싶다! 🤔🤔🤔🤔🤔
MIG를 분석해서, DB 레이아웃을 만들 때, 아래 내용도 고려해야 한다고 한다. 🙂
1. Segment별로 어떤 테이블로 묶을 것인지
2. 메인/디테일/서브테이블 구분
3. 테이블/컬럼명 명명
참고 및 출처 :
https://ecosio.com/en/blog/what-is-an-edi-message-implementation-guideline-mig/
What is an EDI Message Implementation Guideline (MIG)?
Read our article to find out how Message Implementation Guides (MIGs) work, how they are structured and what advantages they offer.
ecosio.com
https://acehlife.tistory.com/9
EDI 구문규칙 - 전송항목 구조(Segment structure) 및 미그(MIG) 보는 법
EDI 구문규칙 - 전송항목 구조(Segment structure) 및 미그(MIG) 보는 법전송항목 구조(segment structure)복합자료항목 (Composite Element)실제 Data가 없는 의미상의 Element.Child를 가진다.Data는 Child인 Component Element
acehlife.tistory.com
https://www.readykorea.co.kr/document/product/edi
레디코리아
수출입 EDI 수출입 EDI 개요 수출입 EDI 솔루션은 수출입 업체 <-> 유관기관(은행, 보험사, 상공회의소) 간의 전자문서 교환방식을 이용해 관련 문서의 실시간 송수신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솔
www.readykorea.co.kr
'EDI'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I] EDIFACT Message 구조 (0) | 2024.09.22 |
---|---|
[EDI] EDIFACT Segment 구조 (0) | 2024.09.22 |
[EDI] EDI 문서 표준 (1) | 2024.09.22 |
[EDI]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정의와 필요성 (1) | 2024.09.21 |
[EDI] 문서 구조 및 요소 (0) | 2024.09.21 |